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은 식당, 카페, 어린이집, 위생업 등에서 근무할 때 꼭 필요한 서류입니다.
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서 병원은 어디서 검사받고, 인터넷으로 어떻게 출력하며,
제출은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신 분들 많죠?
오늘은 이 모든 고민을 해결해드릴 수 있도록 보건증 출력, 모바일 제출법, 병원 찾는 팁, 보건소 운영시간까지
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!
보건증 출력부터 모바일 제출까지, 병원 찾는 법과 보건소 시간까지 한 번에 정리!
✅ 1. 보건증 인터넷 출력, PDF로 저장하는 방법
먼저 보건증을 출력하려면 반드시 검사 후 결과가 등록된 상태여야 합니다.
검사 후 보통 3~5일 이내에 결과가 공공보건포털(G-health)에 업로드됩니다.
출력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:
- 공공보건포털 G-health 접속
- 공동인증서 또는 휴대폰 인증으로 로그인
- 상단 메뉴에서 건강진단결과서(보건증) 발급 클릭
- PDF 문서로 미리보기 후 저장 or 출력 선택
PDF 저장 시 주의사항:
- 파일명은 한글보다 영어/숫자 조합이 오류 확률이 적음
- 폰에서도 저장 가능 (크롬 → 인쇄 → PDF로 저장)
- 저장된 PDF는 이메일 제출, 온라인 업로드, 문자 첨부 등 활용도가 높아요.
✅ 2. 보건증 모바일로 제출하는 방법
요즘 아르바이트 면접이나 인사팀에서는 보건증 실물보다는 사진이나 PDF 제출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모바일 제출 방식
- PDF 저장 후 문자 or 카카오톡 첨부
- 스마트폰에서 보건증 캡처 후 이미지 파일로 전송
- 이메일 첨부 시 PDF 파일 권장 (화질, 신뢰도↑)
📌 팁: 파일 용량이 큰 경우에는 네이버 MYBOX, 구글 드라이브 등 클라우드 링크로 공유하면 더 편리합니다!
✅ 3. 보건증 발급 가능한 병원, 어떻게 찾을까?
보건증 검사는 모든 병원에서 가능한 게 아닙니다.
식품위생법상 보건증 발급은 지정된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서만 가능합니다.
병원 찾는 3가지 방법:
- 네이버 지도 or 카카오맵에 "보건증 발급 병원" 검색
- 지역 보건소 홈페이지 → 지정 병원 리스트 확인
- 1339 보건복지부 콜센터에 전화 문의 (가장 정확)
💡 일반적으로는 보건소가 가장 저렴하고 빠름
(검사비 약 3,000원 vs 병원 평균 5,000~10,000원)
하지만 보건소는 평일만 운영, 대기 시간도 길 수 있으므로
병원은 예약제로 빠르게 끝내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.
✅ 4. 보건소 보건증 발급 가능 시간은?
보건소의 운영시간은 대부분 아래와 같습니다.
평일 | 오전 9시 ~ 오후 6시 (점심시간 12시~1시 제외) |
주말/공휴일 | 휴무 |
방문 시 팁:
- 오전 9시~10시 초반에 도착하면 대기 적음
- 점심시간 직전(11시 30분~12시) 방문은 비추천 (혼잡)
- 일부 보건소는 검진 마감 시간이 오후 4시인 곳도 있음 → 방문 전 전화 확인 필수!
💡 보건소별로 검진 요일이 다를 수 있으니, 구청 보건소 홈페이지나 전화로 꼭 미리 체크하세요!
📝 체크리스트
✅ 검사 완료 후 3~5일 후 인터넷 출력 가능
✅ PDF 저장 후 모바일 제출 가능 (이메일, 톡 첨부)
✅ 보건소/지정병원만 가능 (모든 병원 X)
✅ 보건소는 평일만 운영, 사전 확인 필수
📌 관련 추천글